임당재검 썸네일형 리스트형 [임당정보]식사일기 어떻게 써야 할까요? (식사일기 양식 포함) 저는 임당진단을 받고 근처 대학병원의 내분비내과를 다니고 있어요. 처음 방문했을 당시, 교수님 진료를 보고 1) 영양사 교육, 2) 간호사 교육을 받았답니다. (간혹 교육비가 유료인 병원들도 있던데 제가 다니는 병원은 병원 교육비를 따로 받지 않았어요. 그리고 1:1 개인교육이었답니다. Good~!!) 이 교육 때에 식사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교육도 받고 식사일기 노트도 따로 받았어요. 식사일기를 왜 써야할까요? 식사일기를 쓰는 것은 특히 임당 산모에게는 더 중요한 것 같아요. 임당 산모는 '혈당' 뿐 아니라, 칼로리도 챙겨야 하거든요. 뱃속의 아가가 주수별로 잘 크기 위해서는 무조건 탄수화물을 끊거나 음식량을 줄이면 안된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꾸준한 식사일기가 도움이 되는 것 같아요. 관련 내용은 아래.. 더보기 [임당정보]운동은 어떻게, 무슨 운동을 해야할까요? 임당이 와서 관리를 시작한지 거의 2달이 다 되어가요. 경험을 통해 배운 것들을 정리하고 싶었는데 생각보다 삼시세끼, 3번의 간식을 챙겨먹고 시간을 놓치지 않고 혈당체크를 하는게 쉽지 않더라구요. 하루가 얼마나 빨리 가는지 블로그를 정리할 시간이 없네요. 심지어, 식사 후에 운동을 해야 혈당이 착하게 나와서 운동까지 하려니 더 바쁘답니다. 임신성 당뇨 뿐 아니라 당뇨에서 너무나 중요한 운동.. 어떻게 해야 할까요? 임신성 당뇨.. 운동도 중요해요. 운동요법은 식사요법과 함께 임산부의 혈당 조절에 꼭 필요한 거라고 해요. 임신을 하게 되면 체내 인슐린 요구량이 증가하게 되는데요.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면 근육과 지방세포의 인슐린감수성이 늘어나 상대적으로 적은 인슐린으로도 효과적으로 혈당을 조절할 수 있게 된.. 더보기 [임당정보]케톤이 뭐에요? (케톤/케톤자가측정법/케톤방지법) 임당 확진을 받은 후에 정말 새로운 것들을 많이 알게 되는 것 같아요. 임신성 당뇨의 관리는 일반 당뇨의 관리와는 조금 다른 부분이 있어요. 기본적으로 혈당 조절 목표가 일반인과 달라요. 임산부의 경우에는, - 공복혈당은 95mg/dL 미만 - 식후 1시간 혈당은 140mg/dL 미만 - 식후 2시간 혈당은 120mg/dL 미만 을 기준으로 관리를 한답니다. 그리고 임신성 당뇨 환자는 케톤도 관리를 해야 한데요. 케톤뇨증(케톤산증)이 무엇인가요? 몸 안에서 인슐린이 부족하게 되면 당을 에너지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지방이 에너지로 쓰이게 되면서 케톤이라는 물질이 생겨서 혈액에 쌓이게 됩니다. 이 케톤은 소변을 통해서 배설되는데요. 케톤뇨증이 생기면 태아의 신경계통을 손상시킬 수 있고, 태아가 위험할 수.. 더보기 [임당정보]얼마나 무엇을 먹어야 할까요? (식품교환표) "임신성 당뇨에요." 라는 말을 들으면 제일 먼저 충격이 오는 것 같아요. 내가 단 음식을 많이 먹었나?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서 그런 거 아냐? 혹시 어젯밤 잠을 설쳐서? 이런 생각들이 마구마구 들어요..ㅠㅠ 현실 회피 반응 같은거죠. 하지만, 아무리 단 음식을 먹어도 임당 패스할 사람은 패스를 한다고 해요. 진단을 받았다면 혈당 관리가 필요하다는 의미라고 받아 들여야 한다고 합니다. 근데 이게 생각보다 쉽지 않더라구요. 저도 한동안 현실 회피 시간을 갖고, 약간의 분노(내가 먹고 임당이면 억울하지도 않겠다. 이런 생각)의 시간을 지나 마음을 다잡았답니다. 하루 빨리 관리하는게 나도 아가도 건강할 수 있는 방법이니까요. 임신성 당뇨.. 식사 요법이 중요해요. 임신 당뇨는 식사요법이 진짜 중요한 것 같아요.. 더보기 [임당정보] 임신성 당뇨 진단법/임신성 당뇨의 위험 임산부들은 주수마다 해야하는 검사가 꽤 많아요. 임신하기 전엔 몰랐던 것들이죠. 산전검사와 기형아 검사를 비롯해서, 정밀초음파도 하고, 임신성 당뇨 검사, 태동 검사 등등.. 임신 중기가 되면 임신성 당뇨 검사를 하는데요. 저는 25주 차에 검사를 했어요. 임신성 당뇨 진단법 처음엔 선별검사를 해요. 50g의 포도당 용액을 마시고 1시간 후 혈당을 측정해요. 혈당이 140mg/dL 이상이면 선별검사에서 양성으로 판단되어 재검사를 해야 한답니다. (139까지가 패쓰) 재검은 금식 후에 이루어지는데요. 8~12시간 이상 금식해야 하며, 검사 중에는 물도 마실 수 없어요. 가능하면 자리에 앉아서 검사를 받아야 한데요. 돌아다니면 혈당이 떨어질 수 있는데, 그러면 정확한 검사에 도움이 되지 않아요. 먼저 공복혈.. 더보기 이전 1 다음